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팬모터수리
- 실외기
- 냉난방기수리
- 에어컨실외기수리
- 에어컨원리
- 에어컨기술
- 에어컨
- 에어컨실외기
- 에어컨고장수리
- 에어컨실내기
- 실외기수리
- 에어컨청소
- 에어컨수리교육
- 중고에어컨
- 에어컨수리방법
- 에어컨설치방법
- 에어컨내부
- 에어컨수리기술
- pcb수리
- 대형에어컨수리
- 에어컨세척
- 에어컨PCB수리
- 에어컨정보
- 에어컨설치
- 에어컨영상
- 엘지에어컨수리
- 냉난방기설치
- 에어컨수리
- 에어컨구조
- 냉난방기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221)
냉난방이야기
이번 영상에서는 에어컨에서 물이 새는 이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에어컨에서 물이 새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그중에서 자주 발생되는 원인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현재 영상은 스탠드형 에어컨을 분리한 모습입니다. 1. 배수 호스가 막혀서 물이 빠지지 못하는 현상 2. 냉매가 부족해서 성에가 생김으로 인한 증상 3. 먼지나 기름으로 인한 증상 4. 단열 문제로 인한 증상 5. 배수펌프로 인한 문제 6. 에어컨의 수평이 맞지 않아 발생되는 문제 7. 배관에 U 트랩을 잡지 않아 발생되는 문제 https://youtu.be/MyE58755cnE
간혹 비만 오면 물이 새는 에어컨이 있습니다. 특히 장마철에는 물이 새는 원인을 몰라서 속수무책인 경우가 있는데 오늘은 그 원인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https://youtu.be/kug125fHPbM
인버터 에어컨에서 가장 많은 에러를 말하라면 당연 통신 에러를 말할 수 있습니다. 통신 에러의 불량 원인은 주로 PCB와 통신선의 불량이 있습니다. 이번 영상에서는 통신 에러에서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통신선의 불량을 체크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https://youtu.be/l2ZHS-eXung
오늘은 3밸브 타입 실외기의 펌프 다운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반적인 실외기에 비해 밸브가 한 개 더 있는데 이것이 바로 펌프 다운용 밸브입니다. 1. 제품을 냉방으로 운전하세요. 2. 펌프다운용 밸브를 풀어주세요. 3. 고압 서비스 밸브를 잠가주세요. 4. 펌프다운 완료 후 펌프다운용 밸브 및 저압 서비스 밸브를 잠가주세요. 메니폴드게이지를 이용해서 작업을 하는 경우 메니폴드게이지의 바늘이 '0'에 다다랐을 때 운전을 정지하고 저압 서비스 밸브를 잠근 후 펌프 다운용 밸브도 즉시 잠가줍니다. https://youtu.be/7ErWnXjIXw8
오늘은 새로 매입한 캐리어 히트 펌프식 냉난방기를 점검하고 있습니다. 실내기와 실외기를 연결 후 진공 작업을 하고 시운전을 하는 중입니다. 냉매가 부족하여 충전을 합니다. 냉매 충전 후 마무리를 하려고 했는데 운전을 시작한 지 약 10분 후에 에러가 떨어지네요. 혹시나 해서 실외기 앞에 설치한 열풍 커버를 제거했습니다. 하지만 마찬가지입니다. 먼저 실외 기온 센서의 저항치를 체크했으나 이상이 없어 커넥터를 체크하니 접촉불량입니다. 접촉 이상이 있는 부분에 접점 부활제를 살짝 뿌린 후 커넥터를 뺐다 꽂음을 반복합니다. 이제 수리가 되었습니다. 뚜껑을 닫으려 하니 콘덴서에서 누액이 발생한 게 보이네요. 아무래도 교환을 해야 하겠죠? 캐리어 히트 펌프 에러모드 (CX-255F/285F 기종) ER 01 Con..
오늘은 실내기 3선식과 실외기 4선식을 서로 연결해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영상에서 설명하는 실내기는 엘지 3선식이고 실외기는 위니아 4선식입니다. 또한 정속형 에어컨에 대한 내용이니 인버터 에어컨이나 실외기에 PCB가 있는 제품에는 절대로 적용하시면 안 됩니다.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 실내기 대신 실외기의 배선도를 이용합니다. 작업 전에 배선도가 동일한지 반드시 확인 바랍니다. https://youtu.be/5RT_dHYOxoQ
오늘은 입고된 에어컨의 작동 여부를 검사하기 위해 연결해서 테스트를 진행 중입니다. 저압 67psi 고압 225psi 냉매의 압력은 온도에 따라 달라지며 요즘 날씨에는 이 정도가 정상입니다. 현재는 임시 연결이라 알루미늄관을 사용하였습니다. 배관에 물이 잘 맺히네요. https://youtu.be/CQhgnug2XK8
타공을 해야 할 부위를 표시합니다. 드릴의 함마(타격) 기능을 이용하여 타공을 합니다. 타공 위치에 칼브럭을 박아줍니다. 브라켓을 벽에 대고 타공 위치에 피스 못을 박아줍니다. 수평자를 대고 브라켓의 위치를 정확하게 교정 후에 피스 못을 완전하게 고정합니다. https://youtu.be/cLhhmJHYFPQ
오늘은 PCB가 있는 실외기를 일반 정속형 실내기에 연결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간단한 설명 후에 작업 화면으로 넘어가겠습니다. 실외기 PCB와 파워 트랜스를 제거합니다. 터미널 블록에서 선을 분리합니다. 마그네틱 스위치를 고정합니다. 콤프와 팬모터 선을 마그네틱 스위치에 연결합니다. 단자판에서 마그네틱 스위치로 1번(L) 선과 2번(N) 선을 연결합니다. 단자판의 3번(Y) 선과 2번(N) 선을 마그네틱 스위치의 코일 측에 연결합니다. 여기서는 접지를 제거하고 그 자리에 3번 선을 연결합니다. 테스트를 위해서 실내기의 선을 실외기와 연결합니다. https://youtu.be/C_bhB6nvv4Q