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에어컨수리방법
- 냉난방기
- 대형에어컨수리
- 엘지에어컨수리
- 에어컨청소
- 에어컨수리
- 에어컨실외기수리
- 에어컨내부
- pcb수리
- 냉난방기설치
- 팬모터수리
- 에어컨수리기술
- 에어컨설치
- 에어컨PCB수리
- 냉난방기수리
- 에어컨설치방법
- 에어컨구조
- 에어컨실내기
- 에어컨정보
- 에어컨실외기
- 에어컨
- 에어컨영상
- 중고에어컨
- 에어컨기술
- 실외기
- 에어컨고장수리
- 에어컨세척
- 실외기수리
- 에어컨원리
- 에어컨수리교육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221)
냉난방이야기
전기식 냉난방기의 토출구 안쪽을 보면 히터가 보입니다. 날씨가 추울 때 히터가 안되면 참 난감하지요. 그래서 이번 영상에서는 히터의 고장을 진단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정속형 에어컨에 사용되는 콤프와 인버터 에어컨에 사용되는 콤프는 고장 시에 진단 방법이 약간 다릅니다. 이번 영상에서는 그 차이점과 진단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커넥터를 측정해서 단선이나 합선으로 판명이 되면 반드시 콤프 단자대의 캡을 열어서 확인 바랍니다. 간혹 콤프에 연결된 선이 단선되거나 단락이 되어 있는 경우가 있으며 빗물이 스며들어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https://youtu.be/bYF7LurNtBQ
PCB를 수리하기 위해서는 회로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며 전압의 흐름도 함께 알아야 합니다. 또한 전압의 체크포인트도 알아야 하지요. 이번 영상에서는 전압을 체크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https://youtu.be/iqAT-fTTrrU
대부분의 에어컨 실내기의 측면에는 에어컨의 사양에 대해 자세히 나와 있습니다. 이번 영상에서는 그중에서 운전 전류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운전 전류를 참고하면 에어컨의 고장 부위도 짐작할 수 있습니다. 물론 다른 가전제품도 마찬가지죠. 운전 전류의 체크만으로 고장 부위를 알아내는 요령. 지금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https://youtu.be/VmRzHhw0Cwg
에어컨 설치 시 사용되는 배관은 일반적으로 직선으로 제조된 직관과 동그랗게 말아져있는 롤관으로 분류합니다. 또한 구리로 제작된 동관과 알루미늄으로 제작된 알루미늄관이 있습니다. 그리고 특수한 형태의 주름관이 있습니다. 이번 영상에서는 에어컨 설치 시에 쓰이는 배관의 종류와 쓰임새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https://youtu.be/0MxB7bKMgJU
에어컨의 실외기 내부를 보면 콤프와 모터의 선이 연결된 마그네틱 스위치가 있습니다. 오늘은 마그네틱 스위치를 분해하여 내부의 구조를 살펴보기로 하겠습니다. 이번에 분해할 마그네틱 스위치는 3상용입니다. 먼저 보조 접점 부분을 분리합니다. 보조 접점 분리 완료. 보조 접점을 컨트롤하는 부분입니다. 이 부분에 걸려서 함께 움직입니다. B+에 전압이 인가가 되는지 안되는지에 따라 철심이 상하로 움직입니다. https://youtu.be/F7clwci8W7c
이번 영상에서는 인버터 냉난방기에서 실외기의 냉매 흐름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리고 영상으로만 설명을 드리기에는 너무 복잡한 부분이 있어 간단한 그림을 첨부하여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https://youtu.be/K6VQ3Mnbkpc
현재 보고 계신 제품은 삼성전자에서 제작된 투인원(2in1) 에어컨이며 정속형입니다. 이번 영상에서는 투인원 에어컨 실외기의 내부 구조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압축기(콤프)가 두 개이므로 콘덴서도 두 개가 있습니다. 스탠드형과 벽걸이형의 저압 파이프가 서로 연결됨. https://youtu.be/eHVl_2r81_M
현재 보고 계신 제품은 캐리어에서 제작된 히트 펌프 냉난방기의 실내기입니다. 제품 매입 후 세척을 위해 대기 중이며 그전에 제품에 이상이 있는지 약식으로 점검을 할 예정입니다. 실내기의 경우는 PCB에서 실외기로 컨트롤 전압이 제대로 나가는지의 여부만 점검합니다. 이어서 PCB에서 꼭 알아야 할 각 중요 부품의 이름을 알려드립니다. https://youtu.be/EivfrmZCLg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