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에어컨고장수리
- 에어컨실외기수리
- 에어컨실외기
- 에어컨수리
- 대형에어컨수리
- 에어컨기술
- 에어컨내부
- 에어컨PCB수리
- pcb수리
- 냉난방기설치
- 에어컨설치
- 에어컨원리
- 에어컨
- 에어컨설치방법
- 실외기수리
- 에어컨실내기
- 에어컨구조
- 실외기
- 에어컨영상
- 에어컨세척
- 에어컨정보
- 냉난방기
- 팬모터수리
- 중고에어컨
- 엘지에어컨수리
- 에어컨수리교육
- 에어컨수리방법
- 에어컨수리기술
- 에어컨청소
- 냉난방기수리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221)
냉난방이야기
에어컨 설치 중 실외기의 커버를 열어보니 전선의 연결 상태가 정상이 아니네요. 전기에 대해 잘 모르는 분들도 최소한 정상이 아니라는 것은 느끼시겠지요. 이대로 연결을 하여 마감을 한다면 화재의 위험이 있습니다. 그래서 시간이 걸리더라도 원래대로 복구한 후에 설치를 진행하기로 하였습니다. https://youtu.be/b2l8_cIXF-I
오늘은 엘지 인버터 투인원 에어컨을 분리하고 있습니다. 제조업체와 모델별로 내부 구조가 많이 다른 관계로 다른 부분을 중심으로 하나씩 설명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영상의 제품은 엘지 INVERTER V입니다. https://youtu.be/VadPVlGQfnM
오늘은 컨테이너에 스탠드형 에어컨을 설치하고 있습니다. 그중 첫 번째 작업으로 타공을 하고 있는데요. 이번 영상에서는 컨테이너에 타공을 할 때 주의할 사항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https://youtu.be/10H5RW42-_I
이번에는 심하게 오염된 에어컨 실외기를 청소하는 영상입니다. 너무 심해서 청소가 제대로 될는지 의문이네요. 오염 물질은 비둘기 똥입니다. 우선 고압세척기로 1차 세척을 진행합니다. 세제를 뿌려줍니다. 솔로 문질러줍니다. 오염이 심한 부분은 수세미를 이용해서 닦아줍니다. 고압세척기로 세척. 외부는 세척이 끝났으나 내부에도 오염이 심해서 내부 세척도 함께 진행합니다. 비둘기 똥의 독성 때문에 녹이 발생했습니다. 일반적으로 세척 진행시 실외기를 분해하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오염이 너무 심하여 불가피하게 분해 세척을 진행합니다.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이 실외기를 분해하여 세척을 진행할 시 에어컨의 수명을 단축시킬 우려가 있으니 절대로 따라 하지 마시고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PCB와 모터 그리고 전선 연결부에 ..
PCB가 있는 모든 가전제품에는 콘덴서라는 부품이 들어갑니다. 콘덴서를 잘못 만지면 자칫 위험할 수가 있는데 이번 영상에서는 그 이유에 대하여 알아보려 합니다. 콘덴서는 전기를 충전하는 기능이 있으며 전자제품의 전원코드를 뽑더라도 꽤 오랜 시간 동안 충전이 유지되며 서서히 방전됩니다. 그로 인해 중대한 사고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과연 어떤 이야기인지 함께 알아보실까요? https://youtu.be/FftiaSYjfYg
에어컨 수리 시 약간의 전자 지식을 응용하면 에어컨을 분해하지 않고도 고장부위를 예측할 수가 있습니다. 바로 전원 플러그의 저항치를 측정하는 것인데요. 에어컨 PCB의 회로에 있는 각 부품들의 저항치를 응용한 방법입니다. 우선 측정 전에 전원 플러그의 양쪽 단자를 드라이버 등을 이용해 접촉시킵니다. 이것은 PCB의 부품 중 콘덴서를 방전시켜서 감전을 예방하기 위함입니다. 전원 플러그의 양단 저항치를 측정하여 저항치가 나오면 퓨즈는 정상이고 저항치가 없으면 단선입니다. 그리고 저항치가 0옴이 나오면 어딘가 합선이 된 것이죠. https://youtu.be/WG6237Efydg
브리지 다이오드는 4개의 다이오드를 연결한 브리지 회로이며 정식 명칭은 다이오드 브리지(diode bridge) 혹은 브리지 정류기(bridge rectifier)라 부릅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브리지 다이오드 혹은 브리지 다이오드라 부릅니다. 브리지 다이오드는 일반적으로 전원회로의 교류 입력을 직류로 출력할 때 많이 쓰입니다. 브리지 다이오드의 고장 여부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정확한 측정을 위해 반드시 PCB에서 분리한 후 측정을 해야 합니다. 멀티 테스터로 측정 전에는 항상 영점을 조정하신 후 사용하세요. https://youtu.be/SHYJsn4e8wk
일반 정속형 에어컨에 비해 인버터 에어컨은 가격이 비싼 반면 전기 요금을 절약할 수가 있습니다. 이번 영상에서는 과연 어떤 원리로 인버터 에어컨이 전기를 적게 소모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https://youtu.be/SQCrnojT2No
이번 영상에서는 에어컨이나 가전제품을 수리할 때 알아두면 편리한 한 가지 팁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바로 수리를 할 때 제품을 분해하지 않은 상태에서 퓨즈의 단선 유무를 알 수 있는 방법입니다. 과연 어떤 방법인지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측정한 전원코드를 뽑은 후 5분 이상 기다리시거나 전원 플러그의 양쪽 단자를 도체에 대어 PCB의 콘덴서가 방전될 수 있도록 하세요. 전원 플러그의 끝부분을 손으로 만지면 콘덴서의 방전으로 인해 따끔할 수 있습니다. https://youtu.be/O69-pt9_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