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에어컨설치
- 에어컨수리기술
- 에어컨
- 냉난방기
- 에어컨실외기
- 엘지에어컨수리
- 실외기수리
- 에어컨수리방법
- pcb수리
- 실외기
- 에어컨기술
- 에어컨세척
- 에어컨내부
- 냉난방기수리
- 에어컨실외기수리
- 에어컨PCB수리
- 냉난방기설치
- 에어컨고장수리
- 에어컨구조
- 대형에어컨수리
- 에어컨청소
- 팬모터수리
- 에어컨실내기
- 중고에어컨
- 에어컨수리교육
- 에어컨설치방법
- 에어컨영상
- 에어컨원리
- 에어컨수리
- 에어컨정보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221)
냉난방이야기
이번 영상에서는 모세관의 내부 구조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내부 구조를 보기 위해 모세관을 잘라보겠습니다. 내부에 아무것도 없네요. 이번에는 다른 것을 잘라보았습니다. 그런데 이번에 자른 것은 가운데에 필터가 있습니다. 자세히 보면 내부의 필터에 이물질이 많이 보이는군요. 보셨다시피 모세관의 내부에는 필터가 있는 제품과 없는 제품이 있습니다. 모세관은 에어컨에서 없어서는 안 될 아주 중요한 부품입니다. 압축기에서 나온 고온고압의 기체 상태인 냉매는 응축기를 거치면서 고온고압의 액체 상태가 되며 다시 모세관을 거치면서 저온 저압의 액체 상태가 됩니다. 그리고 증발기를 거치면서 저온 저압의 기체 상태가 되는 것이죠. 모세관은 응축기에서 나온 고온고압의 액체 상태의 냉매를 교축 작용을 통해 저온 저압의..
이번에는 2021 대한민국 에너지대전에 다녀왔습니다. 에어컨 관련 업체는 삼성전자와 엘지전자 그리고 캐리어가 참가했습니다. 먼저 삼성전자의 제품을 살펴보겠습니다. 이번에는 캐리어의 제품을 살펴보겠습니다. 이번에는 엘지전자의 제품을 살펴보겠습니다. 다음은 에너지 관련 기업입니다. https://youtu.be/63PpJzevpcA
이번 영상에서는 필터 드라이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필터 드라이어는 필터와 드라이어 두 가지 역할을 합니다. 일단 내부 구조를 살펴보기 위해 필터 드라이어의 가운데를 잘라보겠습니다. 건조재는 깨끗하네요. 망도 깨끗합니다. 밖이 훤히 보일 정도로 깨끗하죠? 이번에는 다른 것을 잘라보겠습니다. 필터 드라이어가 너무 커서 톱으로 자릅니다. 필터 드라이어는 응축기와 팽창밸브(모세관) 사이에 설치합니다. https://youtu.be/kYdBcEiDmow
이번에는 대형 에어컨의 실외기를 수리하고 있습니다. 실외기를 수리하면서 의외로 실외기의 작동 원리에 대해 어려워하시는 분들이 많아 영상을 제작하게 되었습니다. 그럼 실외기의 배선도를 보면서 작동 원리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https://youtu.be/_mpgY9S5gcc
대형 에어컨의 실외기 팬모터가 고장 났습니다. 하지만 부품이 없어 시중에서 판매되는 모터로 교체할 예정입니다. 우선 팬모터를 고정할 곳에 구멍을 뚫기 위해 표시를 합니다. 정확하게 구멍을 뚫기 위해 피스로 자리를 잡아줍니다. 구멍을 쉽게 뚫기 위해 두 번에 걸쳐 다른 크기의 드릴로 뚫어줍니다. 팬모터를 볼트로 고정합니다. 모터에 팬을 고정합니다. 안전망을 조립합니다. 모터의 배선을 연결합니다. 역상에 걸리지는 않는지 회전 방향을 확인합니다. https://youtu.be/H6VeBfX1XuU
실외기 팬모터의 회전 시 소음으로 인하여 베어링을 교환하기 위해 분리하고 있습니다. 해당 모터는 80평대 에어컨에 사용되는 모터로 3상 220V와 3상 380V를 함께 사용할 수 있는 모터입니다. 물론 각 전압에 사용 시마다 전선 연결 방법은 다릅니다. 과연 교류용 모터의 내부는 어떻게 생겼고 베어링은 어떻게 교환하는지 영상을 눈여겨보시기 바랍니다. 베어링을 빼는 도구는 기어 풀어 혹은 베어링 풀어, 뿌리누치, 기어 풀리, 베어링 풀리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립니다. 베어링을 거는 발은 2개짜리와 3개짜리가 많이 쓰입니다. 현재 영상에 나오는 제품은 4인치짜리이며 발은 2개입니다. https://youtu.be/4QepZ175MAY
동파이프 용접을 하다 유난히 시간이 많이 걸리고 용접이 안된다면 일단 중지하시기 바랍니다. 에어컨 배관 내부에는 냉매뿐만 아니라 냉동오일이 함께 흐르는데 이 오일 때문에 자칫 잘못하면 화상을 입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배관이 아래쪽으로 굽어진 경우나 일부 구간에는 오일이 다량으로 모여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부분을 용접할 경우 용접이 잘 안될 뿐만 아니라 사고의 위험이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자세한 이야기를 지금부터 시작하겠습니다. https://youtu.be/xGHP9NOI8PQ
단상 220V 용 모터나 콤프에는 기동 시 반드시 필요한 콘덴서(캐패시터)가 있습니다. 이번 영상에서는 콘덴서의 역할과 연결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https://youtu.be/DbDUGqyaBKo
현재 보고 계신 에어컨은 3상 4선식 380V로 작동되는 중형 에어컨입니다. 그리고 마그네틱 스위치에서 '따다다닥' 하는 소음이 발생되어 원인을 찾고 있습니다. 마그네틱 스위치를 먼저 확인했지만 이상은 없었고 역상 감지기가 의심되어 확인 중입니다. 드디어 찾았습니다. 냉땜이 발생했네요. 릴레이의 한 단자에서 납땜이 녹아서 냉땜 상태입니다. 이렇게 보니 더 잘 보이시죠? https://youtu.be/rwv5ci6oDOs
대형 에어컨에서 냉매가 누설되어 누설된 곳을 찾던 중 증발기에서 냉매가 새는 것을 발견하였습니다. 조립된 상태에서는 쉽게 찾을 수 없어 분리를 해왔습니다. 먼저 누설이 의심되는 곳의 냉각핀을 가위로 잘라냅니다. 저압 측을 먼저 막아줍니다. 냉매 주입구가 없는 제품은 차지 니플을 연결해 줍니다. 용접할 때 무시는 꼭 빼고 하세요. 질소통을 연결한 후 질소를 넣어줍니다. 고압 측을 손으로 막은 후 체크를 합니다. 누설 부위가 잘 안 보여서 고압 측도 용접을 하여 찾아봅니다. 압력 게이지를 연결하고 질소를 충전합니다. https://youtu.be/z4NC67yFz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