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에어컨실외기수리
- 대형에어컨수리
- 에어컨실내기
- 에어컨세척
- pcb수리
- 에어컨정보
- 에어컨내부
- 냉난방기
- 중고에어컨
- 에어컨고장수리
- 냉난방기설치
- 에어컨실외기
- 에어컨설치
- 냉난방기수리
- 에어컨PCB수리
- 실외기
- 에어컨수리방법
- 에어컨청소
- 에어컨기술
- 에어컨
- 에어컨영상
- 에어컨구조
- 엘지에어컨수리
- 에어컨수리교육
- 에어컨설치방법
- 팬모터수리
- 에어컨수리
- 실외기수리
- 에어컨원리
- 에어컨수리기술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221)
냉난방이야기
에어컨을 설치하기 전 가장 중요한 것은 건물에 맞는 에어컨의 평수를 선정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대부분의 설치 기사분들이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빌라나 다세대주택의 옥상과 컨테이너의 경우 상황에 따라 에어컨의 평형을 늘려야 합니다. 특히 허허벌판에 있는 컨테이너의 경우 3*6컨테이너는 12평형 3*9컨테이너는 15평형 에어컨을 설치해야 문제없이 사용이 가능합니다. https://youtu.be/Ql29Uwr0HRQ
벽걸이형 에어컨과 스탠드형 에어컨의 가장 큰 차이점은 모세관의 위치입니다. 대부분의 벽걸이형 에어컨은 모세관이 실외기에 있고 스탠드형 에어컨은 실내기에 있습니다. 그래서 벽걸이형 에어컨은 고압과 저압 배관 모두 차갑고 결로가 생기지만 스탠드형 에어컨은 저압배관에만 결로가 생기고 고압배관은 따뜻합니다. 모세관은 에어컨에서 없어서는 안 될 아주 중요한 부품입니다. 압축기에서 나온 고온고압의 기체 상태인 냉매는 응축기를 거치면서 고온고압의 액체 상태가 되며 다시 모세관을 거치면서 저온 저압의 액체 상태가 됩니다. 그리고 증발기를 거치면서 저온 저압의 기체 상태가 되는 것이죠. 그래서 모세관이 실내기에 있는 스탠드형은 고압배관이 뜨겁지만 모세관이 실외기에 있는 벽걸이형은 고압배관이 차가운 것입니다. 물론 일부 ..
에어컨을 설치할 때 배관을 보온재로 감싸준 후에 전선과 함께 보온 테이프(마감 테이프)로 다시 한번 감싸주는 작업을 합니다. 오늘은 그 작업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첫 번째 방법은 제가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마감할 때 임시로 묶을 때 쓰는 방법입니다. 이번에도 동일하지만 마무리할 때 묶는 방법입니다. 이때 마감 처리 부분을 타이로 묶어주면 더 좋습니다. 이번에는 다른 방법입니다. 다른 분들이 하는 방법을 흉내 내려니 잘 안되는군요. 딱 정해진 방법은 없습니다. 나 자신에게 가장 편하고 빠른 방법을 쓰면 됩니다. 테이프를 감을 때 탄탄하게 감을 수 있도록 중간중간 힘을 주어 당기면서 감아줍니다. 감을 때 50% 정도 겹치게 감아주는 것이 좋습니다. https://youtu.be/C4dGPpayphQ
오늘은 PCB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저항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그중에서 이번 영상에서는 카본 피막 저항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저항을 체크할 때는 저항의 양단을 체크합니다. 회로의 연결 상태에 따라 정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정확한 측정을 위해서는 저항을 PCB에서 분리한 상태에서 측정을 해야 합니다. 측정치가 정확하지 않으면 반드시 분리한 상태에서 다시 측정하세요. 저항을 측정할 때는 디지털 테스터기가 더 정확하고 편리합니다. 측정치는 296.8Ω이 나오는군요. 오차가 5%이므로 285Ω~315Ω이 나오면 정상입니다. https://youtu.be/hGyloyQN5dQ
PCB를 보시면 각 부품마다 회로 번호가 있습니다. PCB가 고장 나서 수리를 할 때 회로 번호는 상당히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오늘은 왜 회로 번호가 중요한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https://youtu.be/Q9HKIdH3TNE
트랜스(trance)는 교류의 전압 변환과 임피던스 변환을 하는 회로 부품으로서 크게 전원용 트랜스와 신호용 트랜스로 구분됩니다. 이번 영상에서는 그중에서 전원용 트랜스의 불량 체크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전원용 트랜스는 파워 트랜스라고도 합니다. 220V가 입력되는 곳이 1차 측, 12V가 출력되는 곳이 2차 측입니다. 1차 측은 저항치가 높아서 바늘이 적게 움직이고 2차 측은 저항치가 낮아서 바늘이 많이 움직입니다. https://youtu.be/dkQYvZSQoQ8
릴레이는 입력이 어떤 값에 도달하였을 때 작동하여 다른 회로를 개폐하는 장치입니다. 에어컨의 경우 PCB에서 모터나 콤프 등을 작동시키기 위한 스위치의 용도로 쓰입니다. 지금부터 릴레이의 고장을 진단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보시고 계신 릴레이의 코일 전압은 DC12V입니다. 일부 릴레이는 DC5V인 제품도 있습니다. 측정 전에 릴레이의 측면에 표기되어 있는 입력 전압을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https://youtu.be/cKNGoPQlwHE
오늘은 콘덴서가 불량일 때 체크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콘덴서의 종류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이번 영상에서는 그중에서 고장이 가장 많은 전해 콘덴서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바늘의 움직임이 너무 적으면 저항의 단위를 올려줍니다. https://youtu.be/6rdDAK5M_0U
오늘은 트랜지스터의 불량을 체크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트랜지스터(transistor)는 PNP형과 NPN형이 있으며 이미터(emitter), 컬렉터(collector), 베이스(base)로 이루어진 3개의 다리를 갖고 있습니다. 또한 트랜지스터는 전류나 전압 흐름을 조절하여 증폭하거나 스위치 역할을 하는 반도체 소자입니다. https://youtu.be/FwkD15sXFzA
오늘은 다이오드 중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정류 다이오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정류 다이오드는 실리콘 또는 게르마늄의 단결정 속에서 PN형을 접합하여 P형 쪽에 에노드, N형 쪽에 캐소드의 두 단자로 구성됩니다. 다이오드는 순방향 접속에서는 전류가 흐르고 역방향 접속에서는 전류가 흐르지 않습니다. 특히 정류 다이오드는 교류를 직류로 바꾸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https://youtu.be/MDD1OB1mmH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