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에어컨영상
- 에어컨수리
- 냉난방기
- 에어컨수리교육
- 실외기
- 엘지에어컨수리
- 에어컨수리기술
- pcb수리
- 에어컨PCB수리
- 중고에어컨
- 에어컨원리
- 에어컨
- 에어컨정보
- 에어컨구조
- 에어컨기술
- 대형에어컨수리
- 에어컨세척
- 에어컨실외기수리
- 에어컨내부
- 에어컨실내기
- 냉난방기설치
- 에어컨설치
- 팬모터수리
- 에어컨수리방법
- 에어컨실외기
- 냉난방기수리
- 에어컨설치방법
- 에어컨고장수리
- 실외기수리
- 에어컨청소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221)
냉난방이야기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Io7n2/btqEk3ll1nU/mKD0DQ0p8JMY6ChsKAuOP1/img.jpg)
오늘은 MAIN PCB(메인 피시비)의 동작 원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현재 보고 계신 PCB는 LG 정속형 스탠드형 에어컨에서 분리한 것입니다. 이 영상은 작업 현장에서 테스터기만을 이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합니다. https://youtu.be/SPgvho9IqJA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i283P/btqEiMpau89/4mMynbcjqjCEAbLwkLsKK1/img.jpg)
아무런 문제없이 잘 사용해오던 리모컨이 갑자기 안돼서 당황하신 적이 있으신가요? 그렇다면 먼저 리모컨의 표시부에 글자와 숫자가 제대로 표시되는지 확인하세요. 표시부에 아무런 표시가 나타나지 않으면 건전지 커버를 열고 건전지를 살짝 움직인 후에 다시 표시부를 확인하세요. 건전지를 교환할 때에는 반드시 새것으로 교환하세요. 다음은 표시부에 글자 표시가 정상인 경우입니다. 깜빡이는 불빛이 보이는데도 리모컨이 안된다면 건전지를 교체하시기 바랍니다. 건전지를 교체 후에도 안 된다면 주파수를 설정해서 사용하는 설정형 만능 리모컨일 수 있습니다. 만능 리모컨이라면 사용설명서대로 다시 설정하시고 정상적인 원래 제품에 들어있던 리모컨이라면 이상이 없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https://youtu.be/OBjEQtlHMjg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x2oNN/btqEcTn2hoj/Kck1QN9UGRepaK8VCXysEK/img.jpg)
오늘은 에어컨 설치 시 차단기의 용량을 선정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역률은 전기기기에 실제로 걸리는 전압과 전류가 얼마나 유효하게 일을 하는가의 비율을 말합니다. 일반적인 역률은 0.75~0.95입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yCPs2/btqD4zq1sDG/Ixk9KqEnCVIBXSXZrSfeL0/img.jpg)
정속형 에어컨의 경우 제조회사가 다르더라도 결선도만 이해한다면 서로 호환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그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다시 한번 말씀드리지만 인버터 에어컨에는 절대로 적용하시면 안 됩니다. https://youtu.be/GG2XFEfFeh4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uqGvT/btqDZYC18g7/K0KF4PSsKe86K5LDEWi1Y0/img.jpg)
에어컨의 전원이 안 들어오거나 오동작을 할 때 의외로 쉽게 수리가 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 방법은 의외로 간단합니다. 어떤 방법인지 함께 보실까요? 첫 번째로 전원코드를 뽑은 후에 다시 꽂아주세요. 일부 제품은 전원코드를 뽑은 후 3~5분 후에 꽂아야 하는 제품도 있습니다. 그리고 전원 스위치를 눌러 에어컨을 작동시켜보세요. 반응이 없다면 다시 전원 코드를 뽑아주세요. 드라이버 등 도체를 이용하여 전원코드의 양단자를 함께 붙였다 떼어주세요. 방전되는 전기에 감전될 수 있으니 주의하세요. 다시 전원코드를 꼽은 후에 작동 시켜보세요. 그래도 동작이 안된다면 고장입니다. 일반적으로는 벽의 콘센트에 220V 전기가 들어오는지를 먼저 테스트하는 것이 좋습니다. 현재 설명드리는 내용은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이용..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ayHje/btqDXtwKBmH/6v6LRXFuGVccKXvxgOtVS1/img.jpg)
알루미늄으로 제작된 응축기(콘도)의 단면을 궁금해하시는 분들이 있으셔서 잘라보았습니다. 의외의 모습이지 않나요?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lM7yH/btqDTkG8Wr3/2VSEijF25y3xhfurmQkWjk/img.jpg)
오늘은 실내기 선이 2선이고 실외기가 5선식일 때 서로 호환해서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 영상은 정속형 에어컨에만 해당이 됩니다. 먼저 삼성 정속형 에어컨부터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동일한 회사의 제품이라도 일부 제품은 다를 수 있으니 결선도를 꼭 확인하세요. 이번에는 엘지 정속형 에어컨입니다. https://youtu.be/IO8cGgTpdZk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tg4T9/btqDQ78b6fJ/74keo2X1wBUKpADs4Yncj1/img.jpg)
정속형 에어컨 중에서 가정용은 실외기의 선이 2선 타입과 5선 타입 그리고 6선 타입이 있습니다. 오늘은 그 실외기를 서로 호환해서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 내용은 정속형 에어컨에만 해당됩니다. 보시고 계신 결선도는 엘지 에어컨입니다. 신호 선의 색상과 위치는 제조회사에 따라 다르므로 반드시 확인 바랍니다. https://youtu.be/91yfpcJkxiM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U4fWJ/btqDLD05UyS/1yMc0kxDwJ0CL0KykTt4n0/img.jpg)
오늘은 에어컨의 실내기 PCB에서 전원부의 작동 원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PCB에서 전원부를 알면 모든 부분의 이해가 쉽게 됩니다. https://youtu.be/RRicLcRbzLM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VlR6a/btqDvgKFCqi/KtEQUj6hYK3c4jbpyPERhK/img.jpg)
메니 폴더 게이지(압력게이지) 연결 방법입니다. 노란색은 냉매(가스) 통에 연결합니다. 빨간색은 고압 측(가는 배관)에 연결하고 파란색은 저압 측(굵은 배관)에 연결합니다. 1psi=0.070307kgf/cm2 1kgf/cm2=14.223393psi 저압 20psi = 1.4kgf/cm2 고압 370psi = 26kgf/cm2 외부 온도에 따른 R-22 냉매 압력 수치 https://youtu.be/L2yeGq89LG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