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에어컨기술
- 에어컨청소
- 에어컨설치
- 에어컨수리
- 대형에어컨수리
- 에어컨세척
- 에어컨수리교육
- 냉난방기
- 팬모터수리
- 에어컨원리
- 에어컨실내기
- 에어컨고장수리
- 에어컨구조
- 에어컨실외기수리
- 에어컨내부
- 냉난방기수리
- 실외기수리
- 에어컨수리방법
- 에어컨수리기술
- 에어컨정보
- 엘지에어컨수리
- 중고에어컨
- 에어컨실외기
- 에어컨영상
- 에어컨PCB수리
- 냉난방기설치
- pcb수리
- 에어컨
- 에어컨설치방법
- 실외기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221)
냉난방이야기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LJcjf/btqCMnxp9PD/9XGmsJnCUN0gCOTv4lNQA0/img.jpg)
오늘은 실내기 팬모터의 동작원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모터의 잭을 보면 네 개의 선이 있는데 그중에 한 선은 공통선이고 나머지 세 개의 선은 저속 중속 고속을 제어하는 선입니다. 릴레이를 제어하는 전압은 DC 12V입니다. https://youtu.be/pY9ENc_loVg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sEvnM/btqCKBiVe00/S8adST4yBTG17DeSdrzQH0/img.jpg)
오늘은 센추리 히트 펌프식 냉난방기를 점검하고 있습니다. 점검 결과 기능에는 이상이 없는데 택트 스위치가 눌러도 반응이 없네요. 리모컨으로는 정상 동작하므로 택트 스위치를 교환하기로 합니다. 테스트기로 택트 스위치의 불량 여부를 체크합니다. 불량 스위치를 제거하고 새로운 스위치로 교환합니다. 부품이 없을 때는 임시로 접점을 수정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이 방법은 부품이 단종되어 구하지 못할 경우에 하세요. 접점 부활제나 WD를 택트 스위치에 뿌려준 후에 택트 스위치를 볼펜 등을 이용하여 30~50회 정도 두드려줍니다. 물론 새것만큼은 못하더라도 어느 정도 효과는 있습니다. https://youtu.be/AhcQocrTN4I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x1KNr/btqCLMqEmpT/3dkKal9s4JNMI8sGeokJR1/img.jpg)
정속형 에어컨에서 신호선만 찾을 수 있다면 서로 다른 제조사의 제품일지라도 실내기와 실외기를 서로 연결해서 사용할 수가 있습니다. 마치 컴퓨터의 모니터와 본체가 서로 다른 회사의 제품이라도 이상 없이 작동이 되는 것처럼 말이죠. 오늘은 바로 이런 신호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단, 인버터 에어컨은 안됩니다. 그리고 실외기에 PCB가 있는 제품도 안됩니다. 파워릴레이 혹은 마그네틱 스위치로 작동되는 제품만 가능합니다. 다음은 신호선을 이용해 실외기를 작동하는 실제 영상입니다. https://youtu.be/NE0wY6gypuo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KlQzX/btqCMnDRTbo/VhlOxdyk74EsJYvuOKIkjk/img.jpg)
오늘은 엘지 인버터 벽걸이 냉난방기를 수리하고 있습니다. 고장 증상은 차단기가 자꾸 떨어진다고 합니다. 먼저 방문하신 분이 콤프 불량으로 진단하고 수리 포기로 버려진 제품입니다. 일단 콤프를 의심하여 체크를 하였으나 이상이 없어 실내기에서 실외기로 나가는 전선만 연결해서 체크 중입니다. 진단 결과 콤프와 팬 모터 모두 이상이 없음을 확인하였습니다. 결론은 콘트롤선의 열화로 인한 갈라짐으로 인해 실외기 케이스로 누전이 된 것으로 판단하였습니다. 마지막으로 배관까지 연결해서 전체적으로 이상이 없는지 점검을 합니다. 테스트 결과 아무런 이상이 없습니다. https://youtu.be/j3_uNN0qc-k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lZjXp/btqCHwWOJYj/h5MErA9ugWeFJduxclZkI0/img.jpg)
오늘은 항온항습기의 내부를 들여다보겠습니다. 먼저 전면부의 도어를 오픈해보겠습니다. 옆면의 커버를 오픈한 상태입니다. 블로워 모터가 보입니다. 가습기와 히터가 보이는군요. 전면의 커버를 오픈한 상태입니다. 압력스위치와 팬제어스위치입니다. 압력스위치는 저압과 고압을 함께 제어할 수 있습니다. 실외기입니다. 실내기 한 개에 실외기가 두 개입니다. https://youtu.be/4mq6fktejcs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q8TCo/btqCHwvNMWM/3nYiIzr3sXgmLQNTQa3dQ0/img.jpg)
청소를 하기 위해 분해했던 에어컨 실내기를 다시 재조립하고 있습니다. 캐리어 인버터 냉난방기이며 모델명은 CPVR-Q407KX입니다. 팬모터를 조립하고 있습니다. 모터 팬을 조립합니다. 팬을 고정하는 너트는 대부분 왼나사인데 이 제품은 오른나사이군요. 이번에는 PCB 박스를 조립합니다. 조립을 끝내기 전에 운전을 테스트합니다 운전 테스트가 완료되고 마지막 조립을 합니다. https://youtu.be/T1MM2-CPdAU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lpZiI/btqCKglnl0e/4Vkzxd6FINLX1vTrSLvnbk/img.jpg)
오늘은 단상 220V 40A 누전 차단기를 설치합니다. 차단기를 먼저 고정한 상태에서 상단의 전원 측에 전선을 연결합니다. 전선의 다른 한쪽을 메인 차단기에 연결합니다. 현재 설치되어 있는 메인 차단기는 노란색과 파란색에 220V 전압이 들어오므로 그곳에 전선을 연결해줍니다. 이것으로 차단기 설치는 끝났습니다. 다음은 전원 선을 차단기에 연결하겠습니다. 세 가닥의 선 중에 한 선은 어스선입니다. 안전을 위해서 날카로운 부분과 닿는 곳에 보강 처리를 합니다. 차단기에 전원 선을 연결합니다. 어스 선도 연결합니다. https://youtu.be/At7meF7UvjU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CMbCW/btqCJmMS5Uh/cmNdmiLyvglw2yKEfxdTK1/img.jpg)
이번 영상은 엘지 인버터 벽걸이 냉난방기입니다. 중고로 매입을 했는데 PCB가 고장이 났네요. 엘지전자 제품이며 모델명은 S-W113AAW입니다. 고장 증상은 콤프가 안 돌고 에러 번호 21번이 뜹니다. 확인 결과 에러 항목은 메인 실외기 인버터 압축기 과전류 발생이며 고장 증상은 메인 인버터 압축기 불량과 인버터 압축기 구동소자(IPM) 구동 불량입니다. 부품 확인 결과 콤프는 이상이 없었고 PCB에 있는 작은 콘덴서의 특성 불량이었습니다. 고장 난 콘덴서입니다. 용량은 35V 1,000㎌입니다. 수리를 위해 PCB를 분리합니다. 불량인 부품을 교환합니다. 원래대로 조립 후 운전을 테스트합니다. 이제 정상적으로 운전이 되는군요. 이제 에러는 뜨지 않습니다. 운전 전류를 점검합니다. 정상이군요. 가스가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TPirC/btqCKAcE3xq/GS3lhRlq1joTomkY8w7G50/img.jpg)
엘지 인버터 냉난방기를 임시로 연결해서 테스트 중입니다. 설치 시 이상이 없으면 마지막으로 본체에 표시되어 있는 표준 운전 전류를 확인하여 실제와 비교를 합니다. 운전전류가 정상치보다 낮거나 높으면 냉매량이 맞지 않거나 제품에 이상이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난방 운전 시 표준 운전 전류는 12.5A로 표시되어 있네요. 고압의 압력 수치입니다. 테스트기로는 12A가 나오는군요. 운전 전류는 정상입니다. https://youtu.be/cF-tiyiFlZs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N7OMx/btqCJltqVFk/70x4GeKC1Z58YZ8aucH84k/img.jpg)
가스 충전 시에 가장 좋은 방법은 진공을 잡은 후에 정해진 냉매의 정량을 넣어주는 것입니다. 그러나 가스가 어느 정도 있거나 보충이 필요한 경우 가스압력을 보면서 천천히 보충을 해 주어야 합니다. 먼저 메니폴드게이지의 파란색 저압 호스를 실외기의 저압 측에 연결하고 빨간색 고압호스를 실외기의 고압 측에 연결해줍니다. 특별히 문제가 없는 경우라면 파란색 호스는 저압에 빨간색 호스는 고압에 연결해주세요. 그래야 나중에 혹시나 일어날 수 있는 실수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약 30분 정도 운전 후에 압력을 측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가스의 압력은 주변의 온도에 따라 달라지므로 적정압력을 계산해서 보충을 해주어야 합니다. 가스의 압력은 위의 표를 참조하세요. 외부 온도에 따라 고압과 저압의 압력을 참고해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