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냉난방기수리
- 에어컨수리교육
- 에어컨PCB수리
- 냉난방기설치
- 에어컨실외기
- 냉난방기
- 에어컨수리
- 에어컨
- 실외기
- 에어컨원리
- 팬모터수리
- 에어컨청소
- 에어컨수리방법
- 대형에어컨수리
- 에어컨고장수리
- 실외기수리
- 에어컨실내기
- 에어컨기술
- 에어컨정보
- 에어컨세척
- 에어컨실외기수리
- 엘지에어컨수리
- pcb수리
- 에어컨구조
- 에어컨설치
- 에어컨영상
- 에어컨내부
- 에어컨설치방법
- 중고에어컨
- 에어컨수리기술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221)
냉난방이야기
단상220V 삼상380V 부하의최대전류 정격전류용량 CV케이블(가공용)허용전류A Kw 전선굵기 Kw 전선굵기 전선굵기 2C 4C 2KW 2.5SQ 7KW 2.5SQ 12A 15A 2.5SQ 36A 32A 3KW 2.5SQ 9KW 2.5SQ 16A 20A 4SQ 49A 42A 5KW 4SQ 14KW 4SQ 24A 30A 6SQ 63A 54A 6KW 6SQ 18KW 6SQ 32A 40A 10SQ 86A 75A 7KW 6SQ 23KW 10SQ 40A 50A 16SQ 115A 100A 9KW 10SQ 28KW 16SQ 48A 60A 25SQ 149A 127A 11KW 10SQ 35KW 16SQ 60A 75A 35SQ 158A 158A 14KW 16SQ 47KW 25SQ 80A 100A 50SQ 225A 192A..
오늘은 마그네틱 스위치와 그곳에 연결된 전기선을 교체하고 있습니다. 전기선들이 열화되어 딱딱하게 굳어져 안전을 위해 교체하기로 결정했습니다. 먼저 압축기에 연결된 선부터 제거하고 새로운 선으로 교체합니다. 마그네틱 스위치의 B+선을 연결 중입니다. 마그네틱 스위치의 2차 측에 압축기의 전원 선을 연결 중입니다. 함께 연결된 흑색 선은 팬모터로 연결된 선입니다. 마그네틱 스위치의 1차 측에 메인 전원 선을 연결 중입니다. 함께 연결된 흑색과 적색 선은 역상 감지기로 연결되는 선입니다. https://youtu.be/hVAtzljm_2g
우리가 흔히 볼 수 있는 일반 에어컨에서는 보기 힘든 부품이지만 냉동 사이클에서 상당히 중요한 역할을 하는 부품이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 유분리기입니다. 압축기 토출관에 취부하며 토출 가스 내에 포함된 오일을 분리하여 응축기로 오일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부품입니다. 그리고 분리된 오일은 콤프의 흡입관을 통해 다시 콤프로 돌려보내집니다. 유분리기는 배플식과 부레식이 있습니다. https://youtu.be/2F53Lg41wfU
모세관은 에어컨에서 없어서는 안 될 아주 중요한 부품입니다. 압축기에서 나온 고온고압의 기체 상태인 냉매는 응축기를 거치면서 고온고압의 액체 상태가 되며 다시 모세관을 거치면서 저온 저압의 액체 상태가 됩니다. 그리고 증발기를 거치면서 저온 저압의 기체 상태가 되는 것이죠. 그래서 모세관이 실내기에 있는 스탠드형은 고압배관이 뜨겁지만 모세관이 실외기에 있는 벽걸이형은 고압배관이 차가운 것입니다. 물론 일부 제품은 모세관의 위치가 틀린 경우도 있습니다. 모세관은 응축기에서 나온 고온고압의 액체 상태의 냉매를 교축 작용을 통해 저온 저압의 액체 상태의 냉매로 만들어 주는 역할을 합니다. 증발기에서 증발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무화 상태의 냉매를 만드는 것이죠. 무화 상태는 분무기에서 뿜어져 나오는 작은 ..
오늘은 노광기의 실외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노광기도 실외기는 일반 에어컨과 구조가 비슷합니다. 팬제어는 230psi(16kgf/cm2) 저압은 20psi(1.4kgf/cm2) 고압은 370psi(26kgf/cm2)에 맞춥니다. 정확한 수치는 아니지만 이렇게 맞춰주는 것이 좋습니다. https://youtu.be/kG7hVxz9a8k
수액기는 냉동기에서 냉동 작용할 때 액화한 냉매를 잠시 모아두는 용기를 말합니다. 그리고 증발기 내의 부하 변동에 따른 냉매량의 변화를 흡수하여 운전을 원활하게 합니다. 또한 응축기에서 불완전하게 응축된 불응축가스를 제거하는 역할을 합니다. https://youtu.be/oe_L4zMRux8
오늘은 팬 제어 스위치를 설치하는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응축기 주변의 고압배관에서 작업하기 좋은 곳을 선택하여 구멍을 뚫고 1/4배관 또는 모세관을 삽입합니다. 삽입한 배관을 용접합니다. 팬 제어 스위치를 알맞은 위치에 고정합니다. 용접한 배관을 팬 제어 스위치에 연결합니다. 전선 연결 방법은 영상 뒷부분을 참조하세요. 마그네틱 스위치를 고정합니다. 팬 제어 스위치의 압력을 15~17kg으로 맞춰줍니다. https://youtu.be/tqdwyD3vWYY
오늘은 에어컨 청소를 해보겠습니다. 먼저 에어컨을 청소하기에 알맞게 분해합니다. 에어컨의 분해가 끝나면 세척액을 골고루 뿌려줍니다. 솔을 이용해 꼼꼼하게 문질러줍니다. 잘 닦이지 않는 부분은 수세미를 이용합니다. 고압세척기를 이용해서 물을 뿌려줍니다. https://youtu.be/JKmxPDsZwIE
이번 영상에서는 대형 에어컨에서 흔히 발생하는 모터의 소음 문제를 다루어보겠습니다. 모터의 소음 문제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그중에서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베어링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베어링의 생김새부터 알아야 하겠지요. 그래서 지금부터 모터를 분해해보겠습니다. 물론 그냥 분해하는 것은 아니고 이 제품 역시 문제가 있어서입니다. 역시 예상한 대로 베어링 고장이 맞네요. 그러면 하던 일을 계속 진행해야겠지요? 소음이 날만 하네요. 먼저 고장 난 베어링을 빼냅니다. 베어링의 제품번호를 확인합니다. 그리스를 도포해 줍니다. 동일한 베어링으로 교체합니다. 반대편의 베어링도 동일하게 작업합니다. 이제 분해의 역순으로 다시 조립합니다. https://youtu.be/pU48VTzk8fQ
오늘은 대형 에어컨에서 팬모터가 돌아가지 않아 점검하고 있습니다. 모터 콘덴서를 먼저 점검하였으나 이상이 없어 PCB를 확인하려 합니다. PCB를 점검합니다. MAIN PCB에서 이상이 발견되지 않아 SUB PCB를 확인합니다. 확인 결과 SUB PCB에서 냉땜이 발견되어 납땜을 하고 있습니다. 표시된 색상은 팬모터의 선색상입니다. 드디어 수리가 완료되었습니다. https://youtu.be/PNhNEcBcgN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