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에어컨기술
- 에어컨원리
- 에어컨내부
- 중고에어컨
- 에어컨수리
- 에어컨구조
- 에어컨설치
- 냉난방기설치
- 에어컨설치방법
- 에어컨청소
- 에어컨실외기수리
- 에어컨수리교육
- 에어컨실내기
- 실외기수리
- 에어컨수리기술
- 에어컨실외기
- pcb수리
- 엘지에어컨수리
- 실외기
- 냉난방기수리
- 대형에어컨수리
- 냉난방기
- 에어컨영상
- 에어컨수리방법
- 팬모터수리
- 에어컨
- 에어컨정보
- 에어컨세척
- 에어컨PCB수리
- 에어컨고장수리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221)
냉난방이야기
에어컨 실내기에 이상이 있는지 없는지 테스트를 해야 할 경우 전원코드가 있는 일반적인 가정용 에어컨의 실내기는 그냥 전원코드를 꽂으면 됩니다. 하지만 전원코드가 없는 방식이라면 별도로 만들어야 하겠죠. 이번 영상에서는 전원코드를 만드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https://youtu.be/qimc5yUW24M
오늘은 타 업체에 방문을 하였다가 우연히 에어컨을 분해하는 것을 보고 영상을 촬영하게 되었습니다. 아마도 투인원 에어컨의 경우 내부를 구경하지 못하신 분들도 많을 듯하여 부끄럼을 무릅쓰고 달려들어서 촬영을 하였습니다. 콤프가 두 개라서 구조가 엄청 복잡합니다. 스탠드형과 벽걸이형의 저압 배관이 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가스 충전 시 벽걸이형의 저압 측으로도 가능합니다. https://youtu.be/XkDPSGtMhwc
이번 영상에서는 실내기가 없는 상태에서 실외기가 제대로 작동하는지 테스트를 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테스트 조건은 정속형 에어컨이며 신호선이 별도로 없는 2선 방식입니다. 2선 방식은 벽걸이형과 스탠드형 모두 해당됩니다. 실외기가 작동을 하면 모터와 콤프가 정상적으로 돌아가는지의 여부만 확인 후에 즉시 전원을 차단하시기 바랍니다. 고압과 저압 밸브가 닫힌 상태에서 오랜 시간을 작동시키면 콤프가 고장 날 수 있습니다. https://youtu.be/cO2Tg1leB84
이번 영상에서는 EEV(Electronic Expansion Valve)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EEV는 전자식으로 작동하는 팽창 밸브를 말합니다. 또한 고압 측 배관에 연결되어 있으며 실외기에서 실내기로 가는 냉매의 양을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지금부터 EEV의 내부를 살펴보겠습니다. 이번에는 자기 모터를 분리해 보겠습니다. https://youtu.be/e4rH1P0DlXk
가전제품의 PCB를 보면 퓨즈와 함께 과전압으로부터 PCB에 있는 전자 부품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부품이 있습니다. 그 부품의 이름은 바리스터(Varistor)입니다. 바리스터는 전자기기의 Noise와 Surge 및 전압 내성을 보호하기 위한 반도체 저항 소자입니다. https://youtu.be/zAyJUwd5moM
이번 영상에서는 갑자기 누전차단기가 떨어질 때 비교적 간단하게 그 원인을 찾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당장 고치지는 못하더라도 원인을 찾아서 응급처치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영상입니다. https://youtu.be/2aOnn8qxxms
이번 영상에서는 납땜을 할 때 주의할 점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납땜을 잘못할 경우 제품의 동작이 제대로 되지 않거나 고장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인두에 실납을 대어 잘 녹을 때까지 기다립니다. 납땜 제거 시 실납을 함께 녹여서 떼어내면 훨씬 깔끔하게 제거가 됩니다. 납 흡입기를 제거할 납 부위에 바짝 붙인 상태에서 납을 제거하세요. 제거할 부위가 큰 경우에는 몇 번에 걸쳐서 흡입을 합니다. 이번에는 납땜입니다. 납이 완전히 내려앉아서 산소 모양이 되도록 충분한 양의 납을 녹여주세요. https://youtu.be/6LjFGt6eNWs
이번 영상에서는 에어컨 고장에서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통신 에러의 진단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통신 불량은 통신선과 PCB 중 한 곳에서 불량일 가능성이 높으므로 먼저 통신선의 이상 여부를 점검합니다. 우선 실내기의 통신선 커넥터를 분리합니다. 실외기의 통신선 커넥터를 분리합니다. 각 단자 간의 저항치를 측정합니다. 측정 시 실내기와 실외기 중 어느 곳에서 측정해도 상관은 없습니다. 바늘이 움직이고 있습니다. 이런 경우 통신선만 교체하면 수리가 완료됩니다. 하지만 바늘이 움직이지 않는다면 통신선은 이상이 없으므로 PCB를 수리하거나 교환해야 합니다. https://youtu.be/_5JzBMnIScM
이번 영상에서는 왜 메가 테스터를 사용해야 하는지 간단한 테스트를 통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제가 올린 영상에서 누전에 관련된 것은 항상 메가 테스터로 체크를 하였습니다. 그런데 일부 몇몇 분께서 일반 테스터기나 디지털 테스트기로는 안되냐고 물어오셨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간단한 실험으로 메가 테스터의 성능을 검증하고자 합니다. https://youtu.be/kaNQ8WovAh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