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에어컨수리방법
- 에어컨구조
- 에어컨실외기
- 엘지에어컨수리
- 에어컨수리교육
- 중고에어컨
- 에어컨고장수리
- 에어컨청소
- 에어컨원리
- 냉난방기수리
- 대형에어컨수리
- 에어컨실내기
- 에어컨정보
- 에어컨영상
- 실외기수리
- 에어컨수리
- 에어컨
- 에어컨세척
- 에어컨수리기술
- 에어컨설치
- 에어컨설치방법
- 냉난방기설치
- 에어컨PCB수리
- 에어컨실외기수리
- pcb수리
- 에어컨내부
- 팬모터수리
- 냉난방기
- 실외기
- 에어컨기술
- Today
- Total
목록에어컨 (133)
냉난방이야기
이번 영상에서는 에어컨이나 가전제품을 수리할 때 알아두면 편리한 한 가지 팁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바로 수리를 할 때 제품을 분해하지 않은 상태에서 퓨즈의 단선 유무를 알 수 있는 방법입니다. 과연 어떤 방법인지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측정한 전원코드를 뽑은 후 5분 이상 기다리시거나 전원 플러그의 양쪽 단자를 도체에 대어 PCB의 콘덴서가 방전될 수 있도록 하세요. 전원 플러그의 끝부분을 손으로 만지면 콘덴서의 방전으로 인해 따끔할 수 있습니다. https://youtu.be/O69-pt9_018
PCB의 전원부가 고장 시 12V 아답타를 보면 전원부의 고장을 쉽게 이해를 할 수가 있습니다. 이번 영상에서는 아답타와 PCB의 전원 회로를 비교하고 정전압 IC의 고장 진단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해가 쉽도록 비교적 간단한 PCB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https://youtu.be/TpHR17RThrM
정속형 에어컨에 사용되는 콤프와 인버터 에어컨에 사용되는 콤프는 고장 시에 진단 방법이 약간 다릅니다. 이번 영상에서는 그 차이점과 진단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커넥터를 측정해서 단선이나 합선으로 판명이 되면 반드시 콤프 단자대의 캡을 열어서 확인 바랍니다. 간혹 콤프에 연결된 선이 단선되거나 단락이 되어 있는 경우가 있으며 빗물이 스며들어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https://youtu.be/bYF7LurNtBQ
PCB를 수리하기 위해서는 회로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며 전압의 흐름도 함께 알아야 합니다. 또한 전압의 체크포인트도 알아야 하지요. 이번 영상에서는 전압을 체크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https://youtu.be/iqAT-fTTrrU
대부분의 에어컨 실내기의 측면에는 에어컨의 사양에 대해 자세히 나와 있습니다. 이번 영상에서는 그중에서 운전 전류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운전 전류를 참고하면 에어컨의 고장 부위도 짐작할 수 있습니다. 물론 다른 가전제품도 마찬가지죠. 운전 전류의 체크만으로 고장 부위를 알아내는 요령. 지금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https://youtu.be/VmRzHhw0Cwg
에어컨 설치 시 사용되는 배관은 일반적으로 직선으로 제조된 직관과 동그랗게 말아져있는 롤관으로 분류합니다. 또한 구리로 제작된 동관과 알루미늄으로 제작된 알루미늄관이 있습니다. 그리고 특수한 형태의 주름관이 있습니다. 이번 영상에서는 에어컨 설치 시에 쓰이는 배관의 종류와 쓰임새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https://youtu.be/0MxB7bKMgJU
에어컨 실내기에 이상이 있는지 없는지 테스트를 해야 할 경우 전원코드가 있는 일반적인 가정용 에어컨의 실내기는 그냥 전원코드를 꽂으면 됩니다. 하지만 전원코드가 없는 방식이라면 별도로 만들어야 하겠죠. 이번 영상에서는 전원코드를 만드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https://youtu.be/qimc5yUW24M
이번 영상에서는 실내기가 없는 상태에서 실외기가 제대로 작동하는지 테스트를 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테스트 조건은 정속형 에어컨이며 신호선이 별도로 없는 2선 방식입니다. 2선 방식은 벽걸이형과 스탠드형 모두 해당됩니다. 실외기가 작동을 하면 모터와 콤프가 정상적으로 돌아가는지의 여부만 확인 후에 즉시 전원을 차단하시기 바랍니다. 고압과 저압 밸브가 닫힌 상태에서 오랜 시간을 작동시키면 콤프가 고장 날 수 있습니다. https://youtu.be/cO2Tg1leB84
에어컨을 설치하기 전 가장 중요한 것은 건물에 맞는 에어컨의 평수를 선정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대부분의 설치 기사분들이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빌라나 다세대주택의 옥상과 컨테이너의 경우 상황에 따라 에어컨의 평형을 늘려야 합니다. 특히 허허벌판에 있는 컨테이너의 경우 3*6컨테이너는 12평형 3*9컨테이너는 15평형 에어컨을 설치해야 문제없이 사용이 가능합니다. https://youtu.be/Ql29Uwr0HRQ
오늘은 PCB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저항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그중에서 이번 영상에서는 카본 피막 저항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저항을 체크할 때는 저항의 양단을 체크합니다. 회로의 연결 상태에 따라 정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정확한 측정을 위해서는 저항을 PCB에서 분리한 상태에서 측정을 해야 합니다. 측정치가 정확하지 않으면 반드시 분리한 상태에서 다시 측정하세요. 저항을 측정할 때는 디지털 테스터기가 더 정확하고 편리합니다. 측정치는 296.8Ω이 나오는군요. 오차가 5%이므로 285Ω~315Ω이 나오면 정상입니다. https://youtu.be/hGyloyQN5dQ
오늘은 입고된 에어컨의 작동 여부를 검사하기 위해 연결해서 테스트를 진행 중입니다. 저압 67psi 고압 225psi 냉매의 압력은 온도에 따라 달라지며 요즘 날씨에는 이 정도가 정상입니다. 현재는 임시 연결이라 알루미늄관을 사용하였습니다. 배관에 물이 잘 맺히네요. https://youtu.be/CQhgnug2XK8
처음에는 자리를 잡기 위하여 약간 기울여서 타공을 시작한 후 코아가 흔들리지 않을 시점이 되면 코아의 위치를 바로잡습니다. 코아로 타공하는 부분에 붙인 것은 먼지가 날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먼지봉투입니다. 오래된 건축물의 경우 단열재가 있는 부분에 간혹 전기선이 지나가는 경우가 있으니 단열재를 제거한 후 확인 후에 다시 타공을 합니다. 타공 시 안전을 위해서 손잡이를 반드시 잡고 하세요. 타격 기능 사용 시 타공이 거의 다 되었을 경우에는 반드시 일반으로 바꾸어줍니다. 타공 시 생긴 시멘트 덩어리가 밖으로 튀어 나갈 수 있습니다. 그리고 마지막에는 너무 힘을 주지 마세요. 이 역시 타공 시 생긴 시멘트 덩어리가 밖으로 튀어 나갈 수 있습니다. https://youtu.be/OkW2bxIgi7o
에어컨의 전원이 안 들어오거나 오동작을 할 때 의외로 쉽게 수리가 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 방법은 의외로 간단합니다. 어떤 방법인지 함께 보실까요? 첫 번째로 전원코드를 뽑은 후에 다시 꽂아주세요. 일부 제품은 전원코드를 뽑은 후 3~5분 후에 꽂아야 하는 제품도 있습니다. 그리고 전원 스위치를 눌러 에어컨을 작동시켜보세요. 반응이 없다면 다시 전원 코드를 뽑아주세요. 드라이버 등 도체를 이용하여 전원코드의 양단자를 함께 붙였다 떼어주세요. 방전되는 전기에 감전될 수 있으니 주의하세요. 다시 전원코드를 꼽은 후에 작동 시켜보세요. 그래도 동작이 안된다면 고장입니다. 일반적으로는 벽의 콘센트에 220V 전기가 들어오는지를 먼저 테스트하는 것이 좋습니다. 현재 설명드리는 내용은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이용..
알루미늄으로 제작된 응축기(콘도)의 단면을 궁금해하시는 분들이 있으셔서 잘라보았습니다. 의외의 모습이지 않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