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에어컨수리기술
- 냉난방기
- 팬모터수리
- 에어컨실외기
- pcb수리
- 에어컨수리
- 에어컨PCB수리
- 에어컨설치방법
- 에어컨정보
- 에어컨설치
- 에어컨원리
- 에어컨수리방법
- 실외기수리
- 에어컨실외기수리
- 에어컨실내기
- 중고에어컨
- 냉난방기설치
- 에어컨영상
- 에어컨세척
- 냉난방기수리
- 실외기
- 에어컨고장수리
- 에어컨수리교육
- 엘지에어컨수리
- 에어컨내부
- 에어컨구조
- 에어컨청소
- 에어컨
- 대형에어컨수리
- 에어컨기술
- Today
- Total
목록에어컨 (133)
냉난방이야기
실외기의 팬모터에서 소음이 발생하여 원인을 찾고 있습니다. 실외기의 커버를 분리한 후 점검을 해보니 팬모터의 베어링에서 소음이 발생하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팬모터를 분해하여 베어링을 교환하기 위해 필요한 부위를 분해하고 있습니다. 실외기에서 모터를 분리하였습니다. 베어링을 빼내는 공구가 맞지 않아 임시방편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다시 분해 순서의 역순으로 조립합니다. https://youtu.be/MB79-dcmF_U
모든 가전제품에는 과전류로부터 제품을 보호하기 위해 휴즈(퓨즈)라는 부품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휴즈(퓨즈)는 과전류 보호 장치의 하나로 단락 전류 및 과부하 전류를 자동적으로 차단하는 부품입니다. 휴즈(퓨즈)는 한꺼번에 많은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로서, 정해진 전류 이상의 전류가 흐르면 녹아서 끊어지게 제작되었습니다. 이번 영상에서는 휴즈(퓨즈)의 역할과 가전제품 수리 시 주의해야 할 사항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https://youtu.be/f6-s59ETyQM
이번 영상에서는 저압 스위치와 고압 스위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에어컨은 운전 중에 에어컨의 성능을 위해 항상 일정한 냉매의 압력을 유지해야 합니다. 만약 그렇지 못할 때 에어컨은 부품의 고장을 방지하기 위해 운전을 정지하게 됩니다. 그리고 에어컨의 저압 스위치와 고압 스위치가 바로 이런 일을 하는 부품입니다. 그럼 더 자세한 내용을 화면을 보면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https://youtu.be/ipEGEy3kqP0
캐리어 중형 에어컨의 실외기 구조를 보기 위해 커버를 분리하였습니다. 영상에 나오는 실외기는 두 대이며 두 실외기의 차이점은 역상 감지기가 있는 제품과 없는 제품입니다. 이번 실외기는 역상 감지기가 없습니다. 이번 영상에서는 캐리어 중형 에어컨의 실외기 배선도를 보면서 실외기의 구조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https://youtu.be/2_C_qafFEoM
대형 에어컨의 실외기 구조를 보기 위해 전면 커버를 분리하였습니다. 대형 에어컨을 수리하기 위해서는 소형 에어컨에는 없는 부품에 대해서도 알아야 가능합니다. 이번 영상에서는 실외기의 배선도를 보면서 대형 에어컨의 실외기가 작동하는 원리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https://youtu.be/cgIZGqmTDFk
실외기에서 냉매가 샌다면 어떤 방법으로 누설 부위를 찾아야 할까요? 이번 영상에서는 실외기에서 냉매가 누설되는 부위를 빠르게 찾을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고압 측이나 저압 측 중 한 곳에 실외기의 압력을 알 수 있는 게이지를 설치합니다. 냉매를 충전합니다. 이때 질소로만 충전해서 누설 부위를 찾을 수도 있지만 만약 누설 부위 탐지가 쉽지가 않아 냉매 누설 탐지기까지 사용할 계획이라면 냉매와 질소를 함께 충전합니다. 어느 정도 냉매를 충전하고 나머지를 질소로 충전합니다. 냉매가 들어가는 대로 계속 놔두었더니 5kg 정도 충전이 되었습니다. 질소를 충전합니다. 충전 압력은 30kg 정도로 충전하며 미세 누설의 경우 상황에 따라 40kg 정도까지 충전하시면 됩니다. 비누 거품을 이용..
에어컨 실외기를 매입했는데 실외기 내부에 냉매가 하나도 없어서 점검 중입니다. 펌프다운을 하지 않고 그냥 배관을 잘라서 철거를 한 것인지 아니면 실외기의 내부에서 냉매가 새는 것인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다행스럽게도 냉매누설 부위는 없는 것으로 확인이 되었습니다. 진공 작업 직후에 체크한 매니폴드게이지의 최초 바늘의 위치가 변함이 없습니다. 냉매를 채우기 전에 냉동오일을 먼저 넣어줍니다. 실외기가 진공이 잡힌 상태에서 매니폴드게이지의 노란색 호스를 오일이 담긴 종이컵에 담그고 매니폴드 게이지의 저압측 손잡이를 돌려 열어주면 오일이 실외기로 서서히 빨려 들어가게 됩니다. 주입하는 오일의 양은 에어컨의 크기와 철거 시 배관의 길이 그리고 이전 설치의 횟수에 따라 정해집니다. 하지만 이 모든 상황을 모두 알 수..
일하는데 필요한 자재를 구입하기 위해 에어컨 자재상에 들렀습니다. 이왕 들른 김에 에어컨 설치 시 사용하는 자재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실외기 설치대가 난간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나 외부에 설치 장소가 있는 경우 혼자서 실외기를 밖으로 내릴 때 유용한 도구입니다. https://youtu.be/D2eDwO6O1b4
에어컨의 내부를 청소하기 위해 분해하였습니다. 내부가 많이 지저분합니다. 에바(증발기)에도 먼지가 엄청나게 많이 붙어있네요. 에바 세척을 위해 세척제를 골고루 뿌려줍니다. 알루미늄 에바는 먼지가 있는 방향의 반대쪽에서 물을 뿌려주어야 합니다. 그래야 먼지가 잘 빠지고 세척기의 물살에 의해 에바의 안쪽으로 먼지가 박히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습니다. 알루미늄 에바는 동 에바에 비해 세척하는 시간도 많이 소요되고 많이 까다롭습니다. 아직 덜 지워진 부분은 솔로 꼼꼼하게 문질러줍니다. 다시 세척액을 뿌려줍니다. 이때 하얀 거품으로 꽉 차게 뿌려주는 것이 좋습니다. 마지막으로 바닥에 깨끗한 물이 흐를 때까지 물을 뿌려줍니다. https://youtu.be/BcQPGoXI4r8
이번 영상에서는 모터에서 흔히 발생하는 소음을 수리하기 위해 모터를 분해하고 있습니다. 모터에서 발생하는 회전 소음은 대부분 모터의 내부에 있는 베어링에서 발생합니다. 그래서 모터를 분해해서 베어링을 교환해 보겠습니다. 과연 교류용 모터의 내부는 어떻게 생겼고 베어링은 어떻게 교환하는지 영상을 눈여겨보시기 바랍니다. 베어링을 빼는 도구는 기어 풀어 혹은 베어링 풀어, 뿌리 누치, 기어 풀리, 베어링 풀리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립니다. 그리고 베어링을 거는 발은 2개짜리와 3개짜리가 많이 쓰입니다. 새 베어링으로 교환을 하려는데 잘 안 들어가네요. 이런 경우에는 이물질을 제거해 줘야 합니다. 베어링을 끼우기 전에 WD를 살짝 뿌려주면 더 잘 들어갑니다. 조립 전에 베어링용 그리스를 발라줍니다. 모터에는 베..
에어컨 실외기 작동 시 마그네트 스위치에서 간혹 소음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따다다다 하는 소음이 가끔 혹은 연속해서 나기도 합니다. 이번 영상에서는 소음이 나는 원인과 조치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https://youtu.be/dAk4Vn-OObk
대형 에어컨의 압축기를 교환하기 위해 실외기를 분해하였습니다. 어쩌다 보니 콤프가 두 개인 제품을 한 개로 개조하게 되었습니다. 실외기에서 분리해낸 콤프가 두 개 모두 불량이어서 한 개의 콤프로 개조합니다. 콤프가 한 개로 줄어들었으므로 액분리기에서 필요가 없어진 B 콤프에 연결되었던 배관을 잘라냅니다. 콤프에서 응축기로 연결된 고압배관이 두 개에서 한 개로 줄어들었으므로 응축기로 연결된 배관을 한 개로 합쳐줍니다. 액분리기에서 콤프의 저압 측 방향으로 배관의 방향을 바꿔줍니다. 두 개의 마그네틱 스위치를 한 개로 바꿔줍니다. 전선도 더 굵은 전선으로 교체합니다. https://youtu.be/1ZlUU7ccrZM
오늘은 대형 에어컨의 실외기를 수리하고 있습니다. 고장 부품은 압축기입니다. 두 개의 압축기로 이루어진 실외기를 한 개의 압축기로 바꾸고 있습니다. 파란색 압축기는 이 영상과 무관합니다. 대부분의 작업은 이미 끝났고 이제 압축기와 응축기를 이어주는 배관만 연결하면 됩니다. 실외기 내부에 오일이 흘러서 너무 지저분하네요. 그래서 세척작업도 함께 합니다. https://youtu.be/HyezqV9lJRY 대형 에어컨 실외기 콤프 교환하기 - 에어컨 압축기 교환 및 배관 용접
저항은 수리하는 회로에 맞는 저항이 없을 때 직렬과 병렬로 연결해서 용량을 바꿔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번 영상에서는 직렬연결과 병렬연결의 방법과 연결해서 사용하는 이유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저항은 직렬로 연결하면 용량이 커지고 병렬로 연결하면 용량이 작아집니다. 그에 비해 콘덴서는 반대의 성질을 갖고 있습니다. 직렬연결은 한쪽 다리만 연결해서 사용하고 병렬연결은 양쪽 다리를 연결해서 사용합니다. https://youtu.be/nwws5-Q_O_I
콘덴서는 수리하는 회로에 맞는 콘덴서가 없을 때 직렬과 병렬로 연결해서 용량을 바꿔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번 영상에서는 병렬연결과 직렬연결의 방법과 연결해서 사용하는 이유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콘덴서는 병렬로 연결하면 용량이 커지고 직렬로 연결하면 용량이 작아집니다. 그에 비해 저항은 반대의 성질을 갖고 있습니다. 병렬연결은 같은 극끼리 연결해서 사용하고 직렬연결은 다른 극끼리 연결해서 사용합니다. 또한 내압은 병렬연결은 연결한 콘덴서 중에 제일 작은 용량의 것으로 바뀌고 직렬연결은 연결된 콘덴서의 내압을 모두 더한 값이 됩니다. 내압은 콘덴서가 버틸 수 있는 전압을 나타내며 V(볼트)로 표기합니다. 현재 영상에 나오는 콘덴서의 내압은 100V입니다. https://youtu.be/y7byt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