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엘지에어컨수리
- 에어컨기술
- pcb수리
- 에어컨정보
- 냉난방기
- 대형에어컨수리
- 에어컨수리
- 팬모터수리
- 에어컨수리기술
- 에어컨청소
- 실외기수리
- 실외기
- 에어컨세척
- 에어컨설치
- 에어컨영상
- 냉난방기설치
- 에어컨실내기
- 에어컨수리방법
- 중고에어컨
- 에어컨고장수리
- 에어컨수리교육
- 에어컨내부
- 에어컨구조
- 에어컨
- 에어컨설치방법
- 에어컨실외기수리
- 에어컨PCB수리
- 냉난방기수리
- 에어컨원리
- 에어컨실외기
- Today
- Total
목록pcb수리 (28)
냉난방이야기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JFHt/btqGtDEqLdU/O7q5GK9LGcgMyrUb6kcAq1/img.jpg)
오늘은 PCB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저항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그중에서 이번 영상에서는 카본 피막 저항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저항을 체크할 때는 저항의 양단을 체크합니다. 회로의 연결 상태에 따라 정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정확한 측정을 위해서는 저항을 PCB에서 분리한 상태에서 측정을 해야 합니다. 측정치가 정확하지 않으면 반드시 분리한 상태에서 다시 측정하세요. 저항을 측정할 때는 디지털 테스터기가 더 정확하고 편리합니다. 측정치는 296.8Ω이 나오는군요. 오차가 5%이므로 285Ω~315Ω이 나오면 정상입니다. https://youtu.be/hGyloyQN5dQ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qLywg/btqGqnU0w8I/hriOHMuFblWnvpdfUmw3j0/img.jpg)
PCB를 보시면 각 부품마다 회로 번호가 있습니다. PCB가 고장 나서 수리를 할 때 회로 번호는 상당히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오늘은 왜 회로 번호가 중요한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https://youtu.be/Q9HKIdH3TNE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c49Cc/btqGe84PtoE/faVdUO1kSv9bj2pkx6miL0/img.jpg)
트랜스(trance)는 교류의 전압 변환과 임피던스 변환을 하는 회로 부품으로서 크게 전원용 트랜스와 신호용 트랜스로 구분됩니다. 이번 영상에서는 그중에서 전원용 트랜스의 불량 체크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전원용 트랜스는 파워 트랜스라고도 합니다. 220V가 입력되는 곳이 1차 측, 12V가 출력되는 곳이 2차 측입니다. 1차 측은 저항치가 높아서 바늘이 적게 움직이고 2차 측은 저항치가 낮아서 바늘이 많이 움직입니다. https://youtu.be/dkQYvZSQoQ8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QnVTR/btqGdDpXssZ/UQR133W3lapT4EnTq31Fy0/img.jpg)
릴레이는 입력이 어떤 값에 도달하였을 때 작동하여 다른 회로를 개폐하는 장치입니다. 에어컨의 경우 PCB에서 모터나 콤프 등을 작동시키기 위한 스위치의 용도로 쓰입니다. 지금부터 릴레이의 고장을 진단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보시고 계신 릴레이의 코일 전압은 DC12V입니다. 일부 릴레이는 DC5V인 제품도 있습니다. 측정 전에 릴레이의 측면에 표기되어 있는 입력 전압을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https://youtu.be/cKNGoPQlwHE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XixIc/btqF3Ttlc6D/NS8rUNQYTc3ULXcxEv8qY1/img.jpg)
오늘은 콘덴서가 불량일 때 체크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콘덴서의 종류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이번 영상에서는 그중에서 고장이 가장 많은 전해 콘덴서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바늘의 움직임이 너무 적으면 저항의 단위를 올려줍니다. https://youtu.be/6rdDAK5M_0U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nbRL5/btqFP9dnP3U/CXcwOYnWKmeyX0AT7jQJM1/img.jpg)
오늘은 다이오드 중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정류 다이오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정류 다이오드는 실리콘 또는 게르마늄의 단결정 속에서 PN형을 접합하여 P형 쪽에 에노드, N형 쪽에 캐소드의 두 단자로 구성됩니다. 다이오드는 순방향 접속에서는 전류가 흐르고 역방향 접속에서는 전류가 흐르지 않습니다. 특히 정류 다이오드는 교류를 직류로 바꾸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https://youtu.be/MDD1OB1mmHE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Io7n2/btqEk3ll1nU/mKD0DQ0p8JMY6ChsKAuOP1/img.jpg)
오늘은 MAIN PCB(메인 피시비)의 동작 원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현재 보고 계신 PCB는 LG 정속형 스탠드형 에어컨에서 분리한 것입니다. 이 영상은 작업 현장에서 테스터기만을 이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합니다. https://youtu.be/SPgvho9IqJA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U4fWJ/btqDLD05UyS/1yMc0kxDwJ0CL0KykTt4n0/img.jpg)
오늘은 에어컨의 실내기 PCB에서 전원부의 작동 원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PCB에서 전원부를 알면 모든 부분의 이해가 쉽게 됩니다. https://youtu.be/RRicLcRbzLM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xPBL6/btqCLeOwqkY/GzDbDD7yymVx0oBPcaYPI1/img.jpg)
오늘은 대형 에어컨에서 팬모터가 돌아가지 않아 점검하고 있습니다. 모터 콘덴서를 먼저 점검하였으나 이상이 없어 PCB를 확인하려 합니다. PCB를 점검합니다. MAIN PCB에서 이상이 발견되지 않아 SUB PCB를 확인합니다. 확인 결과 SUB PCB에서 냉땜이 발견되어 납땜을 하고 있습니다. 표시된 색상은 팬모터의 선색상입니다. 드디어 수리가 완료되었습니다. https://youtu.be/PNhNEcBcgNk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qzj7P/btqCNaLm54L/qVvhMkdLq8GVCwVKkx99j1/img.jpg)
오늘은 에어컨 메인 피시비(MAIN PCB)에서 릴레이가 하는 역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영상에 있는 메인 피시비(MAIN PCB)에는 모두 8개의 릴레이가 있는데 이는 실내기 팬 모터와 실외기 팬 모터, 그리고 사방변과 압축기를 비롯해 히터까지 제어를 합니다. 자세한 설명은 영상을 참조하세요. https://youtu.be/IjP_n-pZUr4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sEvnM/btqCKBiVe00/S8adST4yBTG17DeSdrzQH0/img.jpg)
오늘은 센추리 히트 펌프식 냉난방기를 점검하고 있습니다. 점검 결과 기능에는 이상이 없는데 택트 스위치가 눌러도 반응이 없네요. 리모컨으로는 정상 동작하므로 택트 스위치를 교환하기로 합니다. 테스트기로 택트 스위치의 불량 여부를 체크합니다. 불량 스위치를 제거하고 새로운 스위치로 교환합니다. 부품이 없을 때는 임시로 접점을 수정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이 방법은 부품이 단종되어 구하지 못할 경우에 하세요. 접점 부활제나 WD를 택트 스위치에 뿌려준 후에 택트 스위치를 볼펜 등을 이용하여 30~50회 정도 두드려줍니다. 물론 새것만큼은 못하더라도 어느 정도 효과는 있습니다. https://youtu.be/AhcQocrTN4I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CMbCW/btqCJmMS5Uh/cmNdmiLyvglw2yKEfxdTK1/img.jpg)
이번 영상은 엘지 인버터 벽걸이 냉난방기입니다. 중고로 매입을 했는데 PCB가 고장이 났네요. 엘지전자 제품이며 모델명은 S-W113AAW입니다. 고장 증상은 콤프가 안 돌고 에러 번호 21번이 뜹니다. 확인 결과 에러 항목은 메인 실외기 인버터 압축기 과전류 발생이며 고장 증상은 메인 인버터 압축기 불량과 인버터 압축기 구동소자(IPM) 구동 불량입니다. 부품 확인 결과 콤프는 이상이 없었고 PCB에 있는 작은 콘덴서의 특성 불량이었습니다. 고장 난 콘덴서입니다. 용량은 35V 1,000㎌입니다. 수리를 위해 PCB를 분리합니다. 불량인 부품을 교환합니다. 원래대로 조립 후 운전을 테스트합니다. 이제 정상적으로 운전이 되는군요. 이제 에러는 뜨지 않습니다. 운전 전류를 점검합니다. 정상이군요. 가스가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eJ21IU/btqCKhdbXwI/PFrxko13qCThmu0fVKDtik/img.jpg)
표시부에 글자가 모두 깨져서 나오는군요. ASSY PCB PANEL을 교환해야 합니다. 교환할 PCB를 준비했습니다. 먼저 전원을 차단합니다. 이제 분해를 시작합니다. 나사를 모두 풀어낸 후에 전면 커버를 위로 살짝 들어 올리면서 분리합니다. PCB에 연결되어 있는 잭을 모두 분리합니다. 스티로폼을 분리합니다. 나사를 모두 풀어줍니다. 고정되어 있는 선을 모두 빼냅니다. 그릴을 분리합니다. PCB PANEL ASSY를 분리합니다. PCB ASSY를 교환합니다. 이제 분해의 역순으로 조립을 합니다. 이제 제대로 표시가 되는군요. https://youtu.be/9t3QJXoM_q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