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에어컨내부
- 에어컨기술
- 에어컨청소
- 엘지에어컨수리
- 에어컨수리
- 에어컨수리교육
- 에어컨실내기
- 에어컨실외기
- 에어컨실외기수리
- 에어컨원리
- 중고에어컨
- 대형에어컨수리
- 에어컨PCB수리
- 냉난방기
- 냉난방기수리
- 팬모터수리
- 냉난방기설치
- 에어컨수리방법
- pcb수리
- 에어컨영상
- 에어컨
- 에어컨고장수리
- 에어컨정보
- 실외기
- 에어컨설치
- 에어컨구조
- 에어컨설치방법
- 에어컨수리기술
- 에어컨세척
- 실외기수리
- Today
- Total
목록냉난방기수리 (52)
냉난방이야기

오늘은 센추리 히트 펌프식 냉난방기를 점검하고 있습니다. 점검 결과 기능에는 이상이 없는데 택트 스위치가 눌러도 반응이 없네요. 리모컨으로는 정상 동작하므로 택트 스위치를 교환하기로 합니다. 테스트기로 택트 스위치의 불량 여부를 체크합니다. 불량 스위치를 제거하고 새로운 스위치로 교환합니다. 부품이 없을 때는 임시로 접점을 수정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이 방법은 부품이 단종되어 구하지 못할 경우에 하세요. 접점 부활제나 WD를 택트 스위치에 뿌려준 후에 택트 스위치를 볼펜 등을 이용하여 30~50회 정도 두드려줍니다. 물론 새것만큼은 못하더라도 어느 정도 효과는 있습니다. https://youtu.be/AhcQocrTN4I

오늘은 엘지 인버터 벽걸이 냉난방기를 수리하고 있습니다. 고장 증상은 차단기가 자꾸 떨어진다고 합니다. 먼저 방문하신 분이 콤프 불량으로 진단하고 수리 포기로 버려진 제품입니다. 일단 콤프를 의심하여 체크를 하였으나 이상이 없어 실내기에서 실외기로 나가는 전선만 연결해서 체크 중입니다. 진단 결과 콤프와 팬 모터 모두 이상이 없음을 확인하였습니다. 결론은 콘트롤선의 열화로 인한 갈라짐으로 인해 실외기 케이스로 누전이 된 것으로 판단하였습니다. 마지막으로 배관까지 연결해서 전체적으로 이상이 없는지 점검을 합니다. 테스트 결과 아무런 이상이 없습니다. https://youtu.be/j3_uNN0qc-k

이번 영상은 엘지 인버터 벽걸이 냉난방기입니다. 중고로 매입을 했는데 PCB가 고장이 났네요. 엘지전자 제품이며 모델명은 S-W113AAW입니다. 고장 증상은 콤프가 안 돌고 에러 번호 21번이 뜹니다. 확인 결과 에러 항목은 메인 실외기 인버터 압축기 과전류 발생이며 고장 증상은 메인 인버터 압축기 불량과 인버터 압축기 구동소자(IPM) 구동 불량입니다. 부품 확인 결과 콤프는 이상이 없었고 PCB에 있는 작은 콘덴서의 특성 불량이었습니다. 고장 난 콘덴서입니다. 용량은 35V 1,000㎌입니다. 수리를 위해 PCB를 분리합니다. 불량인 부품을 교환합니다. 원래대로 조립 후 운전을 테스트합니다. 이제 정상적으로 운전이 되는군요. 이제 에러는 뜨지 않습니다. 운전 전류를 점검합니다. 정상이군요. 가스가 ..

엘지 인버터 냉난방기를 임시로 연결해서 테스트 중입니다. 설치 시 이상이 없으면 마지막으로 본체에 표시되어 있는 표준 운전 전류를 확인하여 실제와 비교를 합니다. 운전전류가 정상치보다 낮거나 높으면 냉매량이 맞지 않거나 제품에 이상이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난방 운전 시 표준 운전 전류는 12.5A로 표시되어 있네요. 고압의 압력 수치입니다. 테스트기로는 12A가 나오는군요. 운전 전류는 정상입니다. https://youtu.be/cF-tiyiFlZs

커넥터 분리 시 가능한 한 흔들며 분리하지 마세요. 나중에 접촉불량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모터 팬을 고정하는 나사는 대부분 왼나사입니다. 일반적인 너트와는 반대 방향으로 풀어주어야 합니다. 팬이 잘 안 빠질 때에는 공구를 써야겠지요. 이제 빠지는군요. 세척액을 뿌려줍니다. 고압세척기로 물을 뿌려줍니다. 요즘에 판매되는 대부분의 에어컨 에바는 앞부분보다 뒷부분이 더 오염이 많이 되므로 반드시 뒷부분도 청소를 해주어야 합니다. 이 영상에서는 사정상 뒷부분의 청소 영상은 포함하지 않았습니다. https://youtu.be/pdNIoz9LDE8

엘지 인버터 냉난방기를 매입하여 테스트 중입니다. 기능상의 이상 여부를 점검하여 완벽한 제품을 만들기 위한 단계입니다. 테스트를 하기 위함이므로 최대한 간단하게 연결을 하였습니다. 모델명은 LPNW0833VP입니다. 가스량은 배관 8미터 기준에 2.22kg 표준봉입량은 5미터 기준에 2.10kg 배관 1미터 추가시마다 40그램이군요. 실외기의 커버 안쪽에 실외기 결선도가 붙어있네요. 실내기의 메인 PCB 박스의 뚜껑 안쪽에 있는 실내기 결선도입니다. 일단 정상적으로 작동하는군요. https://youtu.be/9X3zfnyWZ1M

표시부에 글자가 모두 깨져서 나오는군요. ASSY PCB PANEL을 교환해야 합니다. 교환할 PCB를 준비했습니다. 먼저 전원을 차단합니다. 이제 분해를 시작합니다. 나사를 모두 풀어낸 후에 전면 커버를 위로 살짝 들어 올리면서 분리합니다. PCB에 연결되어 있는 잭을 모두 분리합니다. 스티로폼을 분리합니다. 나사를 모두 풀어줍니다. 고정되어 있는 선을 모두 빼냅니다. 그릴을 분리합니다. PCB PANEL ASSY를 분리합니다. PCB ASSY를 교환합니다. 이제 분해의 역순으로 조립을 합니다. 이제 제대로 표시가 되는군요. https://youtu.be/9t3QJXoM_qM

새로 매입한 냉난방기가 정상적으로 작동을 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임시로 연결해서 테스트 중입니다. 현재는 진공작업 중입니다. 진공 작업을 종료합니다. 서비스밸브를 열어 가스가 순환될 수 있도록합니다. 전원 코드를 연결합니다. 전원을 켭니다. 표시부의 글자가 모두 깨지네요. PCB를 교환해야 할 것 같군요. 실외기의 콤프와 팬모터가 돌아가기 시작합니다. 난방운전시 전류는 11.7A가 나와야 정상입니다. 18.2A가 나오는군요. 가스가 좀 많은 듯합니다. https://youtu.be/cEXYx-mRXvY

전선의 굵기는 에어컨의 연식과 평형에 따라 모두 다르니 에어컨에 연결된 전원 선의 굵기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가정용 에어컨의 경우 12평형 이하는 1.5SQ, 23평형 이하는 2.5SQ를 적용하시면 됩니다. 물론 이것은 일반적인 길이에 대한 것입니다. 전선이 많이 길어지는 경우에는 좀 더 굵은 선으로 작업을 해주셔야 합니다. https://youtu.be/y62ESFYVm-4

이제는 에어컨도 청소가 필요하다는 것을 많은 분들께서 이미 잘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실내기만 청소하면 되는 것으로 잘못 알고 있는 분들도 꽤 많지요. 현재 영상의 엄청난 먼지가 보이시죠? 에어를 계속 불어 대도 먼지가 계속 나옵니다. 당연히 저희 업자들은 이렇게 청소하지는 않습니다. 이렇게 영상을 올리는 이유는 주기적으로 실외기의 청소를 권장하지만 사정이 여의치 않다면 이렇게라도 해서 에어컨을 안전하게 쓰시라고 일부러 먼지를 날리면서 영상을 촬영했습니다. 실제로 뉴스에서 가끔 나오는 에어컨 화재가 바로 실외기에서 비롯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이 사진은 얼마 전에 수리를 하기 위해 실외기의 위 커버를 오픈한 것입니다. 이 사진은 먼지를 제거한 상태고요. 많은 차이가 느껴지시죠? 바로 이런 먼지들로 ..

에어컨설치를 하시는 분들은 대부분 아시겠지만 이제 막 배우시는 분들은 모르시는 분들도 있을 것 같아 영상을 제작하였습니다. 실외기의 이상 유무를 테스트할 때와 펌프 다운(가스 모으는 작업)을 할 때 전원이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마그네틱 스위치만 눌러주면 모든 것이 해결됩니다. https://youtu.be/BYN6JAcf29Y

아날로그 테스트기로는 콘덴서의 단선과 합선 그리고 충방전 여부만 체크할 수 있습니다. 또한 아날로그 테스트기로는 용량 감퇴 여부를 정확하게 알 수가 없습니다. 모터의 회전 불량의 경우 용량 감퇴의 경우가 대부분이니 반드시 디지털 테스트기를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https://youtu.be/6AicECnRH38

단상 220V 전용 에어컨의 실외기에서 모터는 돌고 콤프가 돌지 않을 때 제일 먼저 의심하는 것이 기동 콘덴서입니다. 물론 다른 부분의 고장도 있지만 콘덴서의 고장이 그만큼 많다는 것이겠죠. 이번 영상은 콘덴서의 특징과 고장을 찾아내는 방법에 대해 알아봅니다. https://youtu.be/mg3BtpqMXtE

에어컨 리모컨을 오래 사용하다 보면 간혹 버튼이 안 눌려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는 리모컨 내부에 이물질이 생긴 경우인데 이런 접촉불량을 수리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리모컨 분해 시 다칠 위험이 있으니 반드시 장갑을 끼고 작업을 하세요. https://youtu.be/g4zcd1wKeP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