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냉난방기
- 에어컨청소
- 에어컨원리
- 에어컨고장수리
- 냉난방기설치
- 에어컨설치
- 냉난방기수리
- 에어컨PCB수리
- 에어컨정보
- 에어컨내부
- 팬모터수리
- pcb수리
- 대형에어컨수리
- 에어컨
- 에어컨설치방법
- 에어컨수리방법
- 중고에어컨
- 실외기수리
- 에어컨실외기수리
- 실외기
- 에어컨수리기술
- 에어컨수리
- 에어컨실내기
- 에어컨수리교육
- 에어컨구조
- 엘지에어컨수리
- 에어컨실외기
- 에어컨세척
- 에어컨기술
- 에어컨영상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콘덴서측정 (2)
냉난방이야기

콘덴서는 수리하는 회로에 맞는 콘덴서가 없을 때 직렬과 병렬로 연결해서 용량을 바꿔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번 영상에서는 병렬연결과 직렬연결의 방법과 연결해서 사용하는 이유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콘덴서는 병렬로 연결하면 용량이 커지고 직렬로 연결하면 용량이 작아집니다. 그에 비해 저항은 반대의 성질을 갖고 있습니다. 병렬연결은 같은 극끼리 연결해서 사용하고 직렬연결은 다른 극끼리 연결해서 사용합니다. 또한 내압은 병렬연결은 연결한 콘덴서 중에 제일 작은 용량의 것으로 바뀌고 직렬연결은 연결된 콘덴서의 내압을 모두 더한 값이 됩니다. 내압은 콘덴서가 버틸 수 있는 전압을 나타내며 V(볼트)로 표기합니다. 현재 영상에 나오는 콘덴서의 내압은 100V입니다. https://youtu.be/y7bytI..
동영상자료/에어컨수리
2022. 3. 8. 11:03